본문 바로가기

알고리즘

4. 브루트포스 그런데 최소공배수를 곁들인 (백준 6064 파이썬) (백준 1476 파이썬)

실버1인데 6064번 잘 풀려서 쓰는 글 맞습니다. 근데 lcm 함수를 곁들인..

전에 아주 열심히 최대공약수, 최소공배수 구현했었는데, 물론 헛된건 아니지만 함수가 있었음에 꽤나 허무했던 기억이 있어서..^^ 이번에는 최소공배수 함수를 써버렸다..☆

import math 안에

  • 최대공약수 : Greatest Common Divisor : math.gcd(A, B)
  • 최소공배수 : Least Common Multiple : math.lcd(A, B)

여튼 문제는 아래와 같다.

 

https://www.acmicpc.net/problem/6064

 

6064번: 카잉 달력

입력 데이터는 표준 입력을 사용한다. 입력은 T개의 테스트 데이터로 구성된다. 입력의 첫 번째 줄에는 입력 데이터의 수를 나타내는 정수 T가 주어진다. 각 테스트 데이터는 한 줄로 구성된다.

www.acmicpc.net

문제

최근에 ICPC 탐사대는 남아메리카의 잉카 제국이 놀라운 문명을 지닌 카잉 제국을 토대로 하여 세워졌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카잉 제국의 백성들은 특이한 달력을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들은 M과 N보다 작거나 같은 두 개의 자연수 x, y를 가지고 각 년도를 <x:y>와 같은 형식으로 표현하였다. 그들은 이 세상의 시초에 해당하는 첫 번째 해를 <1:1>로 표현하고, 두 번째 해를 <2:2>로 표현하였다. <x:y>의 다음 해를 표현한 것을 <x':y'>이라고 하자. 만일 x < M 이면 x' = x + 1이고, 그렇지 않으면 x' = 1이다. 같은 방식으로 만일 y < N이면 y' = y + 1이고, 그렇지 않으면 y' = 1이다. <M:N>은 그들 달력의 마지막 해로서, 이 해에 세상의 종말이 도래한다는 예언이 전해 온다. 

예를 들어, M = 10 이고 N = 12라고 하자. 첫 번째 해는 <1:1>로 표현되고, 11번째 해는 <1:11>로 표현된다. <3:1>은 13번째 해를 나타내고, <10:12>는 마지막인 60번째 해를 나타낸다. 

네 개의 정수 M, N, x와 y가 주어질 때, <M:N>이 카잉 달력의 마지막 해라고 하면 <x:y>는 몇 번째 해를 나타내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라.  


사실 딱 보고 바로 1476번 문제가 생각났었는데, 이 방법대로 했어야 했다.. 이때 내가 푼 방식이 다른 블로그 찾아본 방식이랑 달라서 괜히 그 방법 써보겠다고 했다가 시간 초과 한번 봤다 ^^ㅠ 이 방법대로 했으면 바로 풀렸을 것을..

접근법부터 모르겠다면 1476번 날짜 계산(실버5) 부터 해보길 추천한다..

import sys
import math
sys.stdin = open('6064.txt')

T = int(sys.stdin.readline())

def solution():
    M, N, x, y = map(int, sys.stdin.readline().split())
    last = math.lcm(M, N) # 최소공배수

    while x != y:
        # 최대 연도보다 커지면 불가능 판정
        if x > last or y > last:
            return -1
        
        # 같아질 때까지 최대치씩 증가
        if x < y:
            x += M
        else:
            y += N
    return x

for _ in range(T):
    print(solution())
  • 최대 연도를 구하는 데에 최소공배수 함수를 썼음. 구현으로 하면 시간초과 난다는 블로그 글을 보았는데, 함수를 안쓰고 싶다면 M*N을 최대치로 잡아놔도 가능한 것 같다.
  • count를 1씩 증가시키는 방법을 쓰면 시간초과가 남

참고로 1476번 풀이는 아래와 같이 했다. (입력이 간단한 문제는 import하기 귀찮아서 숫자 입력으로 함..)

E = 15
S = 28
M = 19

while E != S or S != M:
    temp = min(E, S, M)
    if temp == E:
        E += 15
    elif temp == S:
        S += 28
    elif temp == M:
        M += 19
print(E)

 뿌듯하니까 재밌네 알고리즘..